水香물풍
디커를 하다보면 인공부화를 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어미가 알을 자꾸 먹는 습관이 있는 경우에 산란상에 망을 씌우기도 하지만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면 역시 인공부화라고 할 수 있지요. 이와 다른 의미로 인공부화를 하는 경우라면 좋은 품종인 경우에 산란싸이클을 빨리 돌리기 위해 인공부화를 하는데 이 경우 산란 후 일주일 정도면 어미는 또 산란을 하기 때문에 주로 상업적인 의미에서 산란상을 어미로 부터 분리하여 인공부화를 하는 경우입니다. 인공부화를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별도의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산란상을 옮긴 후 부화할 수 있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야겠죠. 쌍수조와 같이 큰 규모의 수조는 필요없습니다.오히려 부화 후 치어들이 사료를 찾아 먹는데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작은 규모면 충분합니다. ..
한국디스커스클럽 네이버 카페. 디커매니아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는 디스커스클럽입니다. 바로가기
나홀로 DIY Filter를 구성해서 정말 '즐물'하는 매니아 영상 한 편 소개해 보아요. 볼품은 없지만 자작이라는 그 재미를 만끽하면서 즐물을, 그야말로 취미생활을 엔조이하는 어느 물꾼의 영상.굳이 좀 설명하자면 여과성능에서는 역시 상면입니다.여튼 이 물꾼의 수조환경은 그야말로 정말 자연스런 환경이라 할 수 있겠네요. 개구리밥도 둥둥 떠있는 수조환경인데 특히 구피(사실 영어발음은 거피가 맞습니다)에겐 천연스러울 정도로 자연스런 환경이라 할 수 있지요.물살없이 고여있는 듯 하면서도 위로 부터 낙수되면서 자연스럽게 약간의 물살도 있고 동시에 산소공급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취미생활은 내가 만족하면 되는 것이라는 점, 백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네온 하프블랙블루(NEON HB BLUE) 제목에서 처럼 크기가 장난이 아닌 숫넘들이네요. 십이삼년 좀 더 됐을까요? 국내 모수족관에 풀레드 킹품종이 처음 수입되었을 때 직접 생물을 본 적이 있었는데거짓말 좀 보태서 멸치만한 덩치에 놀란 적이 있습니다. 불행히도 수입된지 얼마되지 않아서 시름시름 판매처에서 거의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지요. 이유는 국내 일반 축양환경(수조환경)에서 견디지 못했던 거지요. 위 영상을 보시는 분들요, 자신의 축양환경과 다른 점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죠? 뭐가 다르다는거지?라고 한다면 관찰력을 의심해야 합니다.^^;; 바닥재를 보세요. 구피는 최소 산호사 또는 자연석 바닥재를 사용하는 것을 강추해 드립니다. 구피가 선호하는 수질은 약알카리 수질이라고 수향이가 목이 메이도록 강..
수 년 만에 구피관련 포스팅이 왜 이렇게 낯설기까지할까? 튜닝의 목적은 최적화, 그 끝은 최적화에서 끝난다. 구피 생태적 수질환경이 어떻게 되냐고? 걍 차치하고~ 구피를 정말 건강하게, 팔팔 뛰는 넘들을 보고 싶다면,그리고 풀싸이즈 제대로 나오도록 축양하고 싶다면 DH있는 경수, 약알카리 수질인 지하수 물에서 축양하라. 한 때 구피매니아들 사이에서 구피가 치어를 낳는게 아니라 알을 낳는다는 말들이 상당히 많이 올라온 적이 있었다. 구피만 키우고 이뻐했지 생태를 전혀 모르니 그런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해 본인 수향이가 여러 싸이트에 약알카리에서 구피를 축양하라고 힘써 강조했던 적이 있다. 물론 본인 구피 축양수조에는 모두 산호사를 망에 걸어서 약알카리에서 축양하고 있었고 그런 축양방법은 국내 최..
아마존의 네그로강(Rio Negro)과 솔리모에스강(Rio Solimoes) 합류지점입니다. (사진 우; 클릭하면 확대) 디커할 때 포스팅했다가 브리딩 관련블로그로 포맷변경하면서 일반 정보는 모두 내렸었는데요 참고정보로 몇 년만에 다시 포스팅 해 봅니다. 네그로강은 우리에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널리 알려져 있는 야생 헤켈의 주산지로 인식되어 있지요. 야생 헤켈~하면 일반적으로 바로 네그로강에서 채집된 헤켈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또 가장 선명한 바를 유지하고 있는 혈통인 관계로 일찌기 헤켈 주산지이자 네그로 헤켈 품종을 가장 좋은 혈통의 품종으로 알아 줍니다. 네그로강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역시 블랙워터(Black Water)~!!! 커피색과 같은 어두운 흙갈색의 산성물인데요 우리가 야생헤켈을 축양..
암모니아성 질소가 호기성 조건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아질산성 질소를 거쳐 질산성 질소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독립영양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성장속도가 느려 반응에 긴 시간 필요하다. 2NH3 + 3O2 → 2NO2- + 2H+ + 2H2O(Nitrosomonas) 2NO2- + O2 → 2NO3-(Nitrobacter) 질산화 과정에서는 NH3 → NO2-의 반응보다 NO2- →NO3-의 반응이 산소요구가 작고, Nitrosomonas가 환경변화에 민감해 NO2-가 일단 생성되면 쉽게 NO3-로 산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중에는 NO2-보다 NO3-가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 질산화 반응의 영향인자 중 온도는 질산화 미생물의 성장 가능온도 4∼50℃범위이며 질산화 반응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최적 pH는 ..